페이지 정보
본문
소개글
나는 수동적이고 기계적인 평범한 생활을 거부하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미술이라는 장르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싶은 꿈을 키워왔다.
그러나 미술가로서의 삶은 고독하고 외로운 것이 현실이었다.
넓고 다양한 세상에 혼자 남겨진 듯한 감정과, 세상과 마주치고 싶은 욕망이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나는 이 그림을 통해 나만의 이야기를 만들어 보았다.
인간의 삶은 고뇌와 고찰로 가득 차 있다.
매일의 일상 속에서 우리는 자신이 누구인지, 왜 이 세상에 존재하는지,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한다.
이러한 고민은 나의 작품에 깊이 반영된다.
이 이야기 속에서 나는 주인공이 되어 세상과 대화하고, 빛이라는 희망을 찾아가며, 꿈을 향해 나아간다.
그리고 세상에 남을 수 있는 작품을 만들고 싶다.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나는 인간의 본질적인 질문에 대해 끊임없이 고찰한다.
우리는 어떤 순간에 존재감을 느끼며, 어떤 순간에 자신의 존재를 의심하는가? 나는 그러한 질문들을 캔버스 위에 풀어내고자 한다.
삶의 의미와 가치를 찾기 위한 여정을 표현하며, 내가 느끼는 고뇌와 고찰을 작품에 담아낸다.
미술은 나에게 단순한 표현의 수단이 아니다.
그것은 나의 존재를 확인하고, 세상과 연결되는 방법이다.
창작 과정에서 나는 나의 감정과 생각을 캔버스 위에 투영하며, 이를 통해 나 자신의 존재를 탐구한다.
이러한 과정은 나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고, 나의 작품에 깊이를 더해준다.
나는 내가 겪는 고뇌와 고찰이 단지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공유하는 보편적인 경험임을 깨닫는다.
그래서 나는 이러한 경험들을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 그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를 바란다.
나의 작품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남아 계속해서 영감을 주고, 그들이 자신의 삶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고뇌와 고찰은 나의 작품에 의미와 가치를 더해주며, 나의 예술적 여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는 앞으로도 이러한 질문들을 계속해서 탐구하고, 나의 작품을 통해 그 답을 찾아가고자 한다.
작품의 테마로 사용하는 동화의 요소는 나의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화는 현실과 환상을 넘나들며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매체로서, 나의 작품에도 깊은 영향을 미친다.
나는 동화를 통해 현실을 초월한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동화라는 장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나의 작품에서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
동화를 통해 나는 현실을 초월한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이를 통해 나의 작품은 더욱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동화는 종종 비현실적인 요소와 상상의 세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환상적인 요소들은 현실을 초월한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의 작품에서도 이러한 환상적인 요소를 통해 현실과는 다른 차원의 존재를 표현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동화는 독자에게 중요한 희망을 전달하려고 한다. 이러한 희망은 주로 도덕적, 윤리적 가치에 기반한다. 나의 작품에서도 동화 속 희망을 반영하여,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려 한다.
동화 속 캐릭터들은 주로 단순하지만 강력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들은 종종 선과 악, 용기와 두려움, 사랑과 증오와 같은 상징적인 대립을 통해 이야기를 이끈다.
나의 작품에서도 이러한 캐릭터들을 통해 존재의 복잡성과 내면의 성장을 표현하고자 한다.
동화 속 주인공들은 종종 모험과 도전을 겪으며 성장한다.
이러한 모험과 도전은 주인공이 자신을 발견하고 존재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의 작품에서도 이러한 요소들을 반영하여, 나의 존재를 탐구하는 여정을 그리고자 한다.
동화 속 세계는 종종 신비로 가득 차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허물고, 독자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나의 작품에서도 마법과 신비로운 요소들을 통해 존재의 새로운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작품 창작은 나에게 있어서 존재의 확인이다.
나는 붓을 들고 캔버스 앞에 서면, 나의 존재를 더욱 깊이 느낀다.
창작 과정에서 경험하는 수많은 찰나의 순간들, 그 순간순간이 쌓여 나의 작품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찰나는 순간일지라도, 그 순간이 나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찰나의 결정적 순간들이 모여 나의 영원을 형성하게 된다.
나의 작품이 완성될 때, 그것은 나의 영원한 열정과 노력이 담긴 결과물이자 지금을 살아가는 찰나의 모습이다.
지금 나는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고, 무엇을 보고 있는지.
세상과 마주친 순간부터 나를 둘러싼 시선과 관계에 대해 궁금해졌다.
타인과의 관계는 우리의 존재를 더욱 깊이 있게 만들어주며, 그 관계 속에서 우리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나는 관계성을 무한히 상상해 볼수 있는 꿈과 환상 속의 이야기를 테마로 잡았다.
동화라는 장르는 내가 항상 동경하고 바랐던 것이었다.
현재를 살아가는 나의 관점에서, 우리는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해하며, 성장해 나간다.
동화 속에서 주인공들이 겪는 모험과 도전,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맺는 관계들은 나에게 큰 영감을 준다.
나는 이러한 동화적 요소들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성을 표현하고, 그것이 우리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내가 창작한 작품 속에서도 주인공들은 세상과 마주치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성장하고 변화한다.
이러한 관계는 때로는 고통스럽고 어려울지라도, 그 과정에서 우리는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
동화 속 주인공들이 친구와 적, 사랑과 증오를 통해 성장하는 것처럼, 나의 작품에서도 이러한 관계 속에서 인간의 복잡한 감정과 존재를 표현하고자 한다.
꿈과 환상 속의 이야기인 동화를 테마로 잡은 이유는, 그것이 우리에게 현실을 초월한 시각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동화 속에서 우리는 마법과 신비를 경험하며,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것들을 상상하게 된다.
이러한 상상력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결국, 나는 나의 작품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고, 그것이 우리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표현하고자 한다.
동화라는 장르는 이러한 복잡한 관계를 단순하고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서, 나의 작품에 깊이를 더해준다.
창작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아름다움과 섬세함을 표현하기 위해 인물, 여성, 인형 등의 모티브를 사용했다.
동화 속에서 여성 캐릭터들은 종종 섬세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통해 자신의 강인함과 내면의 성장을 보여준다.
이러한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은 동화의 환상적이고 매혹적인 분위기와 잘 어우러져, 더욱 풍부한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나의 작품에서도 여성 캐릭터들의 섬세함과 여성성을 강조하여, 동화의 매력을 더하고자 한다.
특히, 나는 여성의 섬세한 감정과 아름다움을 통해 존재의 복잡성과 깊이를 표현하고 싶다.
이 과정에서 나는 여성의 아름다움과 섬세함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탐구하며, 나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반영하려 노력한다.
여성의 아름다움은 단순한 외적인 것이 아니라, 그 내면의 강인함과 성장, 그리고 동경과 사랑의 다양한 감정을 담고 있다.
나는 거대한 사회에 짓눌리지 않기 위해 빛을 따라가는 여정을 그린다.
빛은 나에게 목표와 희망, 꿈을 상징한다.
빛은 나에게 존재의 의미를 주고, 존재의 가치를 인정한다.
하지만 빛은 쉽게 얻을 수 없고, 쉽게 잃을 수 있다.
빛은 나를 유혹하고, 도전하고, 시험한다.
빛은 나에게 존재의 어려움과 고통을 주기도 한다.
나의 작품에서 빛의 존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빛은 단순한 물리적 현상을 넘어, 존재와 삶의 깊은 의미를 담고 있다.
빛은 어둠 속에서 희망을 상징한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나아갈 수 있게 하는 힘이 된다.
나의 작품에서도 빛은 희망과 꿈을 상징하며, 삶의 어려움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용기를 표현한다.
빛은 목표와 도전의 상징이다.
빛을 따라가는 여정은 끊임없는 도전과 시험을 의미한다.
나의 작품 속 주인공들은 빛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과 고통을 겪지만, 이를 통해 성장하고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빛은 내면의 탐구를 의미하기도 한다.
빛을 따라가는 여정은 자신을 탐구하고,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나는 작품을 통해 빛을 따라가며,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고자 한다.
빛은 구원의 상징이다.
절망 속에서 빛을 발견하고, 그 빛을 통해 구원받는 이야기는 많은 동화와 신화에서 반복되는 테마이다.
나의 작품에서도 빛은 구원의 상징으로 작용하며, 고통 속에서 빛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다.
빛은 변화와 성장을 상징한다.
빛을 따라가는 여정은 자신을 변화시키고 성장하게 만드는 과정이다.
나의 작품 속에서 빛은 주인공이 변화를 겪고,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는 상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상징성은 나의 작품에 깊이와 의미를 더해주며, 관객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다.
빛을 따라가는 여정은 나의 예술적 탐구와 삶의 여정을 반영하며, 이를 통해 나는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나는 존재하는 것일까? 아니면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이러한 질문은 존재의 의미를 고민하는 나의 작품에서 중심적인 주제이다.
나는 현재의 세상을 관찰하는 자로서 존재하고 싶다.
그리고 작품 속에서는 현실의 실체로선 나는 존재하지 않고 싶다.
존재하고자 하는 열망과 존재하지 않음을 바라는 모순적인 감정 속에서 나는 살아간다.
존재란 무엇일까?
존재는 단순히 물리적으로 이 세상에 있다는 의미를 넘어서, 나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가는지를 탐구하는 과정이다.
나는 존재의 모순 속에서 살아가며, 그 모순 속에서 예술적 영감을 찾는다.
나의 작품은 이러한 존재의 고민과 탐구를 반영한다.
존재하는 나는 찰나의 순간들이 쌓여 나의 삶을 만들어가고, 그것이 다시 영원으로 남기를 바란다.
찰나의 순간은 짧지만, 그 순간들이 모여 나와 우리의 삶을 형성한다.
이 순간들이 쌓여 영원한 기억으로 남을 때, 삶은 비로소 완전해진다.
나는 나의 작품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남아, 그들에게 지속적인 영감을 주는 상태가 되기를 바란다.
영원은 그저 무한한 시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영원은 나의 작품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남아, 계속해서 영감을 주고, 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는 상태를 의미한다.
나는 나의 작품이 영원히 남아, 사람들에게 존재의 의미를 생각하게 하고, 그들이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를 희망한다.
나의 작품은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내가 느끼는 모순과 고뇌를 표현한다.
나는 이 모순 속에서 살아가며, 그것이 나의 예술적 창작의 원동력이 된다.
나의 작품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영원히 남아, 그들에게 지속적인 영감을 주기를 바란다.
영원한 존재는 단순한 시간의 흐름을 넘어, 우리의 삶과 예술이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경력
2024 대구 달서구 마을공동체활성화 지원사업 <예술가와 함께하는 마을축제 ‘문화마을 아지트’> 기획 선정
2020 대구현대미술 2020 '팬데믹 & 대구' 기획
2020 수창아트페어2020 '안팔불태' 기획
2020 대구 달서구 마을공동체활성화 지원사업 <문화모임 '아지트'> 기획 선정
2020 TBC방송국 생방송 굿데이프라이데이 <문화모임 '아지트'> 소개
2020 대구현대미술가협회 사무국장 역임
2019 차세대문화예술기획자 양성과정 수료
2019 아틀리에 : 문화창작예술공간 운영대표
2019 대구현대미술가협회 홍보분과장 12대 운영위원 위임
2017 대구현대미술가협회 홍보분과장 11대 운영위원 위임
2015 대구현대미술가협회 소속
2018 제6회 사단법인 메디치상 우수미술가상 수상
2012 대구사진비엔날레 대구투어공모전 금상
2012 온라인갤러리커뮤니티 포토M 여름사진 공모전 주장원
2010 제2회 다프 한국구상미술대전 공모전 입선
2010 제2회 청도 소사랑 미술대전 특선
2009 제17회 대구미술협회 한유회 공모전 입선
개인전
2024 marchen : Blue -현대아울렛 /대구
2020 청년미술프로젝트 2020(Young Artists Project) -대구아트스퀘어, 한국미협 대구시지회, EXCO /대구
2020 르네상스 기획 연계전시 4부 'märchen•land:renaissance' -아틀리에:문화창작예술공간 /대구
2017 키다리 갤러리 초대개인전 'marchen' -키다리갤러리 /대구
2016 청년작가 지원 초대개인전 '허재원展' -키다리갤러리 /대구
개인부스전
2016 신진작가 지원초대전 '실재와 가상사이 어디선가, 문득' -웃는얼굴아트센터 /대구
단체전
- 2024 -
달서, 그림책이 되다 -아틀리에:문화창작예술공간 /대구
2024 대구청년작가회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대구/광주 국제 교류전 -대구문화예술회관
광주×대구 청년미술작가회 달빛교류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대구청년작가회 기획 'Maze' -푸른병원 갤러리 더블루 /대구
- 2023 -
DPAC기획 '언어의반란' 2부 -아틀리에:문화창작예술공간 /대구
DPAC기획 '언어의반란' 1부 -대구아트웨이 오픈갤러리큐브 /대구
대구현대미술 2023 에프터 세라비 -SPACE129 /대구
대구청년작가회전 'MOVING' -DGB갤러리 /대구
대구현대미술 2023 세라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대구현대미술가협회 청년작가전 '응답하라8090' -SPACE129 /대구
대구청년작가회 기획 '단면' -푸른병원 갤러리 더블루 /대구
- 2022 -
2022 대구청년작가회전 '맺다'-대백프라자갤러리 /대구
대구현대미술 2022 'Answer' -스페이스129 /대구
쉼 -푸른병원 갤러리 더블루 /대구
찾아가는 예술가 -효문화원 /대전
선으로부터 -서구문화회관 /대구
오월의숲 -횡성숲체험원 /강원 횡성
대구현대미술 2022 '함께하는Q&A'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 2021 -
함께하는 선물展 -웃는얼굴아트센터 /대구
New beginning 展 -디아트갤러리 /대구
다부이즘s展 -예끼마을 끼갤러리 /안동
LURKING展 -봄갤러리 /대구
The Road of Artists -환갤러리 /대구
색과 생명展 -범아아트스트리트 /대구
다부이즘 2021展 -대백프라자갤러리 /대구
살아있는 상상展 -디아트갤러리 /대구
Summer innovation Exhibision -디아트갤러리 /대구
'봄 희망을 노래하다'展 -대구수성문화원 /대구
아름다운 봄향기 동행전 -갤러리 인 포레 /대구
대구현대미술 2021 'MARCH'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동방예의지섹 -보나갤러리, 오모크갤러리 / 대구
- 2020 -
2020 대구청년작가회전 -북구어울아트센터 /대구
DCAA Clermont Ferrand Exposition -Galerie Flax /프랑스 끌레르몽 페랑
Oeuvres D'art Contemporain De 27 Artistes De La Corée Du Sud -Galerie ALPHA /프랑스 티에르시
대구현대미술 2020 '팬데믹 & 대구'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20 르네상스 기획 연계전시 2부 'renaissance'展 -아틀리에:문화창작예술공간 /대구
2020 르네상스 기획 연계전시 1부 'naissance'展 -아틀리에:문화창작예술공간 /대구
2020 대구학생문화센터기획 청년작가 공모 선정작가전 'Meditation & Dream' -대구학생문화센터 /대구
2020 대구학생문화센터기획 청춘만개展 -대구학생문화센터 /대구
2020 웃는얼굴아트센터기획 '대구청년작가회 초대전' -웃는얼굴아트센터 /대구
대구현대미술가협회 기획 2020새해맞이 '함께하는 A4展' -SPACE129 /대구
- 2019 -
2019 대구청년작가회 초대 '靑年樂圖' 청년희망전展 -수성문화원 /대구
회화의 표현과 동향전 -수성아트피아 /대구
2019 범어아트스트리트 범어길프로젝트4부 '제3의 공간'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2019 대구청년작가회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대구현대미술 2019 '대구, 현대미술의 눈'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9 명복공원 '기억의 기록展' -대구시설공단 명복공원 /대구
Healing of the Mind -칠곡경북대학교병원 힐링갤러리 /대구
- 2018 -
2019 새해맞이 '함께하는 A4展' -SPACE129 /대구
2018 '수창, 청춘을 리노베이션 하다' -수창청춘맨숀 /대구
경남융복합아트展 -통영시민문화회관 /경남통영
2018 대구청년작가회전 '2018 Years Go by'-봉산문화회관 /대구
2018 수창청춘맨숀 pre open展 -수창청춘맨숀 /대구
창녕호텔아트레지던시 결과보고전 '浮曲, 떠다니는 노래' -갤러리디엠 /경남창녕
창녕호텔아트레지던시 오픈스튜디오 -부곡스파디움호텔 /경남창녕
대구현대미술 2018 '대구, 현대미술의 자화상'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부산현대작가협회 국제교류전 2018 -부산시청 /부산
New thinking New art 2018 -리서울갤러리 /서울
뉴's 페이스展 -갤러리디엠 /경남창녕
표현의 다양성전 -대구학생문화센터 /대구
한국현대미술작가展 'YOUNG ARTIST' - 장안중학교갤러리 /서울
한국현대미술작가展 'contemporary of K-art' -중앙도서관갤러리 /인천
달서문화재단 웃는얼굴아트센터 기획 'Stand by me' -웃는얼굴아트센터 /대구
- 2017 -
2018 戊戌年 새해맞이 100마리‘犬公’납시오展 -대구 아양아트센터
대구현대미술축제 2017 'Buy, 예술가의 방' -대구 신세계백화점 신세계갤러리
대구/부산/울산 현대미술협회 연합 '감성도시' -울산시 중구 성남동
2017 하이스쿨 디렉터 프로그램 '관계대명사展' -대전 엑스포 미디어큐브동
대구현대미술 2017 '대구 몸 그리다' -대구 문화예술회관
대구/부산/울산 현대미술협회 연합 '2017 嶺南展 '-부산 문화회관
키다리갤러리 기획전 'the Face展' -대구 봉산동 키다리갤러리
가정의달 기획전 'Dream展' -대구 봉산동 키다리갤러리
봄바람이 분다展 -대구 봉산동 SPACE129
KIDARI CONTEMPORARY ART SHOW -대구 대백프라자갤러리
러브테마 4인 기획전 '큐피트展' -대구 봉산동 키다리갤러리
- 2016 -
반려동물과 사랑 나누는 크리스마스展 -대구 봉산동 키다리갤러리
대구현대미술축제 '2016 봉산아트길' -대구 봉산동
키다리 갤러리 개관 이전 기념 'Reload展' -대구 봉산동 키다리갤러리
2016 하이스쿨 디렉터 프로그램 '좌우지간전' -대전 한남대학교
대구현대미술 2016 '삶 그리고 미술가' -대구 문화예술회관
2016 큐피트展 -대구 봉산동 키다리갤러리
40퍼센트에서 위로 -대구 봉산동 키다리갤러리
- 2015 -
미니아트페어 again exhibition -대구 봉산동 키다리갤러리
대구현대미술축제 '2015 봉산아트길' -대구 봉산동
대구현대미술 2015 '예술, 도시에 서다' -대구 문화예술회관
- 2013 -
눈으로 떠나는 팔도유랑 사진전 -대구 Art Factory 청춘
노태웅과 다부동의 추억전 -대구 문화예술회관
- 2012 -
제2회 FD클럽 사진전 'PERSONAL LANDSCAPE' -대구 수성구 지산동 시오갤러리
봄맞이 사랑나눔전 -구미 갤러리카페 BOM
- 2010 -
제1회 화가촌 페스티벌전 -대구 대구은행 본점 갤러리
- 2009 -
제14회 대구예술대학교 서양화 전공 졸업전시회 -대구 시민회관
아트페어
2022 라움아트페어 -그랜드호텔 /대구
2021 경주아트페어 -경주화백컨벤션센터 /경주
2020 수창아트페어2020 '안팔불태' -수창청춘맨숀 /대구
2018 Art market Stamp-Tour in Jeonju -전주한옥마을 /전주
2018 경남국제아트페어 GIAF -CECO /경남창원
2017 경남국제아트페어 GIAF -CECO /경남창원
2017 art Busan -부산 해운대구 BEXCO /부산
2010 제1회 쇼 핸드아티 페어 -서울 양재동 힐스테이트갤러리 /서울
레지던시/프로젝트
2020 공공미술프로젝트 -중구 김광석거리 /대구
2020 청년미술프로젝트 2020(Young Artists Project) -대구아트스퀘어, 한국미협 대구시지회, EXCO /대구
2018 창녕호텔아트레지던시 2기 입주작가
2016 수창64 Project no.1 공간의기억 '예술가라는 이름의 유령' -대구문화재단 /대구